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35)
javascript - var, const, let 일을 하다보면 javascript에서 변수를 선언을 할 때 습관적으로 var만 이용한다.  0년차 때는 var, let, const 의 차이를 알았지만, 어제 후임이 질문을 하다 3개의 차이를 잊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뭐 사실 몰라도 var만 써도 되지만, 그래도 차이를 알고 써야 된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멍청하게 지나가기 보다는 가볍게 정리된 것을 가져와 머리에 정리를 하려한다. 이 분의 블로그 내용을 가져와봤다.https://velog.io/@bathingape/JavaScript-var-let-const-%EC%B0%A8%EC%9D%B4%EC%A0%90 var, let, const 차이점JavaScript에서 변수 선언 방식인 `var, let, const` 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
onclick에 인수 넣을 때 onclick에 인수 넣을 때  상태변경 일을 하다보면 습관적으로 넣는 이상한 버릇이 있다. 내가 왜 이렇게 넣나를 생각했을 때  상태변경 이런식으로 jstl을 가져와서 넣는게 습관이다 보니까 문자열이든 숫자이든 상관없이 계속 onclick 내에 작은 따옴표를 넣는 습관이 들었다. 그렇지만 이건 필요가 없는 짓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구글링하기보다 chatGPT에 물어서 사용법을 알아보았다.HTML의 onclick 이벤트에서 함수를 호출할 때 인수를 따옴표에 넣어야 하는지 여부는 인수의 타입에 따라 달라집니다.1. 문자열 인수:문자열 인수를 전달할 때는 따옴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열을 표현하는 규칙입니다.Click Me여기서 'hello'는 문자열이므로 따옴표로 감싸야 합니다.2..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업데이트
command 회사에서 portainer를 사용하고 있다. portainer는 Web GUI 기반 Container 관리 툴 이다. 여기서 회사 상사분이 tomcat 9.0을 사용하면서 command 부분을 bin/bash가 아닌 bin/sh를 사용하라고 했다, 선택 사항에는 bin/ash, bin/bash, bin/sh 가 있는데, 뭐가 다른 것인지 몰라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Portainer에서 컨테이너의 터미널에 접속할 때, bin/ash, bin/bash, bin/sh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들은 각각 다른 셸(Shell)을 가리킨다. 셸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고, 이를 해석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셸마다 기능과 사용 방법에 차이가 있다. 아래는 각 셸의 특징이다.1. /bin/ashAlmq..
css - position 개발을 하다보면 css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CSS (Cascading Style Sheets)는 웹페이지를 꾸미려고 작성하는 코드이다. 사실 개발하는데 몰라도 솔직히 엄청 편하지는 않다. 그렇지만 알아두면 뭔가를 설명할 때 유익하다. position의 속성에는1. static2. relative3. absolute4. fixed5. stickey가 있다 요소를 옮기기 위해서는 일단 위치를 옮길 기준을 잡아야 한다.값의미static기준 없음(배치 불가능/ 기본값)relative요소 자기 자신을 기준으로 배치absolute부모(조상) 요소를 기준으로 배치fixed뷰포트 기준으로 배치stickey스크롤 영역 기준으로 배inherit부모태그의 속성을 상속받는 잘 모르겠으면 적용해보면 알 수 있다!..
@RequestParam @RequestParam(value="file", required = false) CommonsMultipartFile file, 프로젝트 하다가 파일을 VO로 받는 경우는 많다. 그렇지만 단일로 file로 받는 경우는 많지가 않았다.그래서 잘 쓰지 않기에 required를 쓰는 것을 까먹었다...잊지 말자 requestParam의 requried default 값은 true이다!!!
eclipse clean들... 후임이 더 들어왔다...ㅋㄹㄴ에 걸려 갤갤 거리다가 후임의 질문을 잘 피했지만, 내 실력이 탄로 날거 같아서... 머리에 있든 없든 정리가 필요함을 피부로 느꼈다 ㅎㅎ 급똥줄탄다 ㅎㅎ 그 시작으로 이번에 cleand을 정리하려고 한다.eclipse에는 내가 사용하는 clean이 3가지가 있다.1. project - clean 2. tomcat clean3. clean Tomcat Work directory  clean을 하는 이유를 알아야한다고 생각한다. 1번을 하는 이유는 코딩을 하다 에러나 클래스 파일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빌드 하지 못할때 project clean을 하면 된다.영어로 설명되어 있는 부분은 clean will discard all build problems and built state..
정 처 기 며칠전에 시험을 봤다. 잘 보지는 못해서 할 말은 없지만... 정보처리기사 시험이었다, 다시 정리해봐야겠다... 수제비 기출... 미래에 있을 면접에 대비해서
리캡챠 v2 (구버전) https://m.blog.naver.com/limja38/221183598854홈페이지 게시판 오류 수정 - 구글 리캡차, reCAPTCHA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리캡챠 오류) 홈페이지 게시판 오류 수정 - 구글 리캡차, reCAPTCHA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리캡챠 오류)홈페이지 게시판 오류 수정 - 구글 리캡차, reCAPTCHA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리캡챠 오류) 홈페이...blog.naver.com 예전 프로젝트 리캡챠 구버전 사용 설명 있어서 가져와 보았다.  홈페이지 내 게시판 글 작성 페이지에 '자동등록방지' 시스템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로봇 등에 의해 스팸글들이 자동으로 작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데요,문자나 숫자를 보여주고 이를 입력해야 글 등록이 되는 것입니다. 기술..
SERIAL 매번 오토 인크리먼트만 보다가 새로운 프로젝트를 보면서 SERIAL 을 처음 사용해보아서 궁금해서 검색해보았다. https://adjh54.tistory.com/402 [DB/Postgres] SERIAL 데이터 타입 이해하기 : Auto Increment Column해당 글에서는 PostgreSQL에서 Auto Increment로 사용되는 Serial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1) Auto Increment 💡 Auto Increment -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동으로 값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 주adjh54.tistory.com 이분의 블로그를 보았다.💡 Serial 타입의 종류- Serial 타입의 종류로는 SMALLSERIAL, SERIAL, BIGSERIAL로 구성이 되어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