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리 있든 없든 정리하기!!!

[Spring] VSCode - Spring Project [1]

728x90
반응형

지난주에 교육을 갔었는데, Spring을 VSCode로 실행하는걸 말로만 들어봤지... 직접 실행한 적은 없었다.

매번 Eclipse나 STS 로 실행했었는데... 위에 상사한테 옛날사람 취급 받은 적 있다...

 

옛날 사람 맞지만 그래도 좀 뒤처진 느낌 많지만... 그래도 VSCode로 프로젝트 해보려한다...

 

https://honeymon.io/tech/2021/01/06/use-vs-code-for-spring-boot.html

 

[spring-boot] Visual Studio Code 에서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개발하기 - I'm honeymon(JiHeon Kim).

회사에서는 입사자에게 개발기기로 맥북과 인텔리제이를 제공한다. 개인노트북에서는 개인 라이센스로 인텔리제이를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다. 간혹 세미나나 스터디 발표를 하다보면 인텔리

honeymon.io

이 블로그를 참고해서 작성했다.

 

미리 해줄거는 VSCode를 설치이다.

 

- Extension Pack for Java 설치

 

- Spring Boot Extension Pack 설치

 

- Ctrl + Shift + P 를 눌러 커맨드 팔레트(Command palette)를 열어 ‘Spring initalizr: Create a Gradle Project’ 를 선택

- version 선택 (2025-03-17 기준)

일단 테스트 버전이니 3.4.3로 한다.

 

- Project 언어 선택

java로 한다

 

- Group Id 설정 ( Group Id 설정할때는 대문자가 되지 않는다.)

- Artifiact Id 설정

- Packaging type 설정

- Java Version 설정

- Dependencies 설정

1. Spring Boot DevTools

2. Lombok

3. Spring configuration Processor

4. Spring Web

5. Spring Data JPA

6. H2 Database

7. Flyway Migration

8. MariaDB Driver

 

이렇게 등록하고 Enter 하면 경로 지정하는게 뜬다

클릭해주면 된다.

 

이렇게 뜨는데 Open 눌러주면 된다.

 

그럼 이렇게 뜬다

 

src/main에 보면 applicaiton.properties가 있다. properites 보다는 YAML 을 선호한다고 한다.

YAML이 작성하기 쉽고, 읽기 쉽고, 인코딩 영향을 받지 않고, propeties 파일은 이클립스에서 인코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그렇기에 YAML로 변경해준다.

application.properties ==> application.yml

 

 

※ VSCode 에서 지원하는 YAML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과 달라서 일반적 사용방식에 맞춰 작동하도록 하는 방법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 일반적인 방법

logging.level:
  org.springframework.web: DEBG

 

- VSCode 작성 방법

logging:
  level:
    '[org.springframework.web]': debug

 

※ VSCode는 기존에 사용했던 Eclipse, IntelliJ 와는 다르게 Java 파일을 생성하지 않는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파일을 생성하고 Java 형식을 등록한다.(Java 클래스 파일을 바로 생성하는 확장팩을 만들어도 된다.)

 

 -java\com\devnoter404\test\devnote404 에 web폴더 생성하고 TestController.java를 생성해줫는데 어노테이션이 자동으로 주입이 되지 않는다.

Gradle:Build error가 떠서 일단 그게 문제인거 같아서 에러 코드를 보니... 내 컴퓨터에는 java 11이고 프로젝트는 java17로 설정해서 그런거 같다... 이런 초보적인 실수를 하다니... 역시 나는 아직 초보다...

jdk 17 설치하고 환경변수 Path에 ~~/jdk17/bin으로 입력하고 최상단으로 올려주고 Ctrl + Shift + P 에서 

이것을 선택해주고 나면 잘 돌아간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