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회사에서는 vue를 쓰지 않고 jsp를 사용해서 전자정부 내에 front랑 back이랑 같이 있었다.
새로 이직한 회사는 vue를 쓰기에( vue3 - composition API) 배포하는 방법을 알지 못해서 끄적여 보면서 3일정도 공부해 보려한다.
정처기 시험도 앞두고 있지만... 그래도 다음주부터 현장에 투입될 수도 있기에...
[설치하려고 하는 상황]
docker를 설치해서 container 마다 다르게 돌아가고 싶게 하고 싶어서 centos9에 먼저 docker를 설치하려고 한다. virtualbox(vb)에 설치해보겠다. 올만에 vb에 설치해서 좀 잘 모르겠지만 시행착오를 겪어봐야지전 회사에서는 vue를 쓰지 않고 jsp를 사용해서 전자정부 내에 front랑 back이랑 같이 있었다.
새로 이직한 회사는 vue를 쓰기에( vue3 - composition API) 배포하는 방법을 알지 못해서 끄적여 보면서 3일정도 공부해 보려한다.
정처기 시험도 앞두고 있지만... 그래도 다음주부터 현장에 투입될 수도 있기에...
[설치하려고 하는 상황]
docker를 설치해서 container 마다 다르게 돌아가고 싶게 하고 싶어서 centos9에 먼저 docker를 설치하려고 한다. Oracle virtualbox(vb)에 설치해보겠다. 올만에 vb에 설치해서 잘 모르겠지만 시행착오를 겪어보겠지...
여기서 [새로 만들기] 를 선택한다.
[무인 설치]를 클릭해
사용자 이름 : user
비밀번호 : 1234
이렇게 세팅 해주고
[하드웨어] [하드 디스크] 일단 이거는 기본으로 하고 완료를 누르면
이렇게 뜨면서 시작을 누르면 똑같이 뜨는데
[표시]를 누르면
화면이 뜨면서 이렇게 나오는데 다시 DVD 에 CentOs 파일을 넣어주고 [마운드 후 부트 재시도]를 눌러주면 로딩이 된다.
[Install CentOS Stream 9] 을 선택하면 된다.
이렇게 뜨면 이제 설치과정까지 잘 된거다... 웬만해서는 잘 된다.. 그리고 vb에서 오른쪽 하단에 Shift+ Ctrl 이 적혀 있는게 보인다. vb에서 커서가 나오려면 Shift+Ctrl을 클릭하면 된다는 말이다. [계속 진행]을 클릭해준다.
[시스템-설치목적지]
[시스템-네트워크와 호스트 이름]
[사용자설정 - root 비밀번호]
[사용자설정- 사용자 설정] (skip)
이 정도만 설정해주면 될거 같다.
- [시스템 - 설치목적지]
그냥 들어가서 완료만 눌러주면 된다.
- [시스템-네트워크와 호스트 이름]
여기도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연결해야 하는데 연결되어 있으니 일단 완료 누르고 넘어간다.
- [사용자설정 - root 비밀번호]
비밀번호 : 1234
이렇게 입력하면 [완료를 다시 누르고 비밀번호를 사용하세요] 라고 뜬다. 다시 완료를 눌러준다.
root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나오면 사용자 생성에도 빨간색이 사라진다. 이후에 [설치 시작]을 하면 된다.
기다리면 설치가 완료된다.(좀 걸린다...)
[시스템 재시작]을 눌러준다.
여기서 [머신 - 스냅샷 찍기]를 해준다.
근데 나는 GUI 가 아닌 CLI 로 설치하고 싶었는데... 일단 그냥한다...
전체이름에 user1이라고 입력해준다.
비밀번호 : 1234
[CentOS Stream 시작]을 눌러준다.
이렇게 하면 이제 설치는 완료됐는데 현재는 GUI 니까 CLI로 변경해준다.
[터미널] 을 실행해
su -
비밀번호(1234)를 입력해준다.
user => root로 바뀐것이 보인다.
다음은 현재 실행 중인 타겟과 서비스를 중지하고, 시스템을 multi-user.target 타겟으로 전환한다.
multi-user.target 이라는게 그냥 linux에서 사용되는 systemd 타겟 이름일 뿐이니 그냥 그대로 받아들이면 된다.
GUI 에서 CLI 로 넘어가면서 GUI에 필요한 기능들이 필요 없어지게 되는데 이 것을 버리기 위한 용도이다.
참고로 systemctl 은 systemd 를 이용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systemd 는 데몬의 일종이다.
systemctl isolate multi-user.target
이렇게 입력해주면 바로 아래와 같이 바뀐다.
root로 로그인을 해준다. (이후부터 로그인 사진첨부는 생략한다)
위 명령어만 사용하면 부팅시 다시 GUI로 동작한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추가적으로 사용한다.
set-default 는 부팅 시 어떤 타겟으로 시작 할 것인지 정해준다.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
이렇게 되면 잘된거다. 부팅하면 이제 CLI로 접속한다. 테스트는 reboot를 해보면 된다. 그전에 혹시 또 어떤 변수가 작용할지 모르니 스냅샵을 찍자(이제 이런말도 귀찮으니 안쓰겠다...)
잘 되는 것을 확인했으니 이제 docker를 설치해보겠다. 다음 글에서...
'머리 있든 없든 정리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vue-spring] 배포 연습[1] : centOS9-docker install[3] - ssh (0) | 2025.03.28 |
---|---|
[vue-spring] 배포 연습[1] : centOS9-docker install[2] (0) | 2025.03.27 |
[Spring] VSCode - Spring Project [4] (0) | 2025.03.20 |
[Spring] VSCode - Spring Project [3] (0) | 2025.03.19 |
[Spring] VSCode - Spring Project [2] (0) | 2025.03.18 |